반응형

이전 글:

2020/03/08 - [HTML and CSS] - [HTML] 6. HTML 제목

2020/03/09 - [HTML and CSS] - [HTML] 7. HTML 문단

 

어느새 HTML에서 스타일을 배울 때가 왔다.

여기까지 왔으면 대략적으로 HTML이 어떻게 작성되는지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.

이제는 '어떻게 하면 더 잘 꾸밀 수 있을까?'

'어떻게 하면 세련되게 꾸밀 수 있을까?'

와 같은 질문이 생각날 때이다.

HTML 스타일은 매우 배울 내용이 많다.

하지만 어디에나 기초적인 문법은 있기 때문에,

가장 기본적으로 쓰이는 것부터 차차 알아가 보도록 하자.

 

다음 예시로 이번 장을 시작하도록 하자.
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
<p>I am normal</p>
<p style="color:red;">I am red</p>
<p style="color:blue;">I am blue</p>
<p style="font-size:50px;">I am big</p>

</body>
</html>

위의 예시를 실행시키면,

결과로부터 style의 color는 글씨의 색깔을,

font-size는 글씨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 

HTML 스타일 속성은 어떻게 구현될까?

 

HTML 스타일은 style 속성으로 구현된다.

그리고 style 속성은 다음과 같은 문법을 가진다.

<tagname style="property:value;">

property는 CSS 속성을 의미하며, 

value는 CSS 값을 의미한다.

 

//

계속 CSS라는 표현이 나와서 어리둥절 할 수 있다.

나중에 CSS에 대해서 배우겠지만

미리 개념을 설명하자면

CSS는 "Cacading Style Sheets"의 앞 글자를 딴 것으로

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시트인데

CSS는 이러한 스타일시트를 표준화한 것이다.

크게 글자의 크기, 글자체, 줄간격, 배경 색상, 배열 위치 등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.

//

 

웹의 배경 색깔은 어떻게 구현할까?

 

CSS의 background-color 속성을 통해서 HTML로 작성된 사이트의 배경을 정의할 수 있다.

배경을 "powderblue"로 지정한 예시를 보자.

<!DOCTYPE html>
<html>
<body style="background-color:powderblue;">

<h1>This is a heading</h1>
<p>This is a paragraph.</p>

</body>
</html>

웹 페이지에 배경 색깔이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
 

글씨 색깔은 어떻게 정의할까?

 

앞의 예시에서 사용하였지만 글씨 색깔은

CSS의 color속성으로 구현된다.
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
<h1 style="color:blue;">This is a heading</h1>
<p style="color:red;">This is a paragraph.</p>

</body>
</html>

위의 코드를 실행시킨 결과로 파란 글씨와 빨간 글씨의 본문을 얻을 수 있다.

 

글씨체를 정의해보자.

 

글씨체는 CSS font-family로부터 구현할 수 있다. 
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
<h1 style="font-family:verdana;">This is a heading</h1>
<p style="font-family:courier;">This is a paragraph.</p>

</body>
</html>

만약 html에 기본적으로 사용가능한 글씨체가 아니라면

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해야 한다.

 

글씨 크기를 정해보자.

 

그러면 이제 글씨 크기를 정하기 위해서

CSS font-size 속성을 사용해보자.
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
<h1 style="font-size:300%;">This is a heading</h1>
<p style="font-size:160%;">This is a paragraph.</p>

</body>
</html>

글씨 크기는 ~ %로 배수를 정해줄 수도 있지만

~ px로 정확한 수치로 정의를 해줄 수도 있다.

 

글씨 배열은 조절 가능할까?

 

물론 가능하다.

CSS text-align 속성을 사용하면 HTML 요소들의 배열을 정의할 수 있다.
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
<h1 style="text-align:center;">Centered Heading</h1>
<p style="text-align:center;">Centered paragraph.</p>

</body>
</html>

위의 예시로부터 요소들이 화면 중앙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.

 

이 장에서는 간단히 HTML 스타일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설명하였다.

  • background-color: 웹의 배경색
  • color: 글씨 색깔
  • font-family: 글씨체
  • font-size: 글씨 크기
  • text-align: 글씨 배열

각 style에 대해 실제로는 더 많은 선택권이 있다.

그 선택권 자체가 각 style마다 몇 백개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

여기서는 대표적인 예시만 나타냈다.

 

앞으로 style도 사용하는 예시들이 자연스럽게 나올 것이니

서서히 배워나가도록 하자.

반응형

'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] 10. HTML 인용과 인용구  (0) 2020.03.12
[HTML] 9. HTML 텍스트 서식 설정  (0) 2020.03.12
[HTML] 7. HTML 문단  (0) 2020.03.09
[HTML] 6. HTML 제목  (0) 2020.03.08
[HTML] 5. HTML 속성  (0) 2020.03.04

+ Recent posts